분석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중에서 크기와 형태가 정해져 있는 정형 데이터의 비율이 높을수록 통계에 유리하고, 크기와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의 비율이 높을수록 딥러닝이 유리하다. 하루 평균 운동 시간이나 칼로리 섭취량, 키와 몸무게 등과 같이 크기와 형태가 정해져 있는 정형 데이터들로만 이루어진 데이터로 대사증후군 등의 질병을 예측하는 것은 통계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일기의 내용을 가지고 정신 건강의 수준을 예측하는 일은 딥러닝이 유리하다. 일기를 매일 쓰는 사람도 있고, 몇 달에 한 번 쓰는 사람도 있다. 일기를 쓸 때마다 장문의 글을 남기는 사람도 있고, 간략하게 몇 줄 적거나 이모티콘 몇 개를 남기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일기는 크기와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은 대표적인 비정형 데이터이다.
'경제 꿀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협조적인 고객 대하는 방법 (0) | 2022.03.08 |
---|---|
꼭 필요한 내용을 요약해서 말하는 방법 (0) | 2022.02.10 |
설득과 협상을 통한 세일즈의 좋은 방법 (0) | 2022.02.10 |
상대방과 대화에서 최대한 예의 있게 말하기 (0) | 2022.02.09 |
객관적 판단을 흐리지 않는 방법 (0) | 2022.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