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2

농지대장 신청방법(2022년 개편) 농지대장 신청방법(2022년 개편) 농지원부의 개정 절차가 마무리되고 4월 15일부터 정식 시행되면서 농지원부의 명칭이 8월 18일부터는 농지대장으로 변경이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개편내용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농지대장(농지원부) 개편 내용 먼저 개편 내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작성기준(4월 15일부터 시행) 현행: 농업인 농가 단위로 작성 개편: 농지 필지 단위로 작성 ✅ 작성대상(4월 15일부터 시행) 현행: 1,000㎡ 미만 농지는 농지원부 작성 불필요 개편: 면적 관계없이 모든 농지가 작성 대상 ✅ 관리주체(4월 15일부터 시행) 현행: 농업인 주소지 관할 행정청 개편: 농지 소재지 관할 행정청 농지원부의 작성 비치 관리는 주소지 시구읍면에서 진행하였다면, 농지대.. 2022. 5. 16.
격리해제 사실 확인서 온라인 발급 방법(정부24) 격리해제 사실 확인서 온라인 발급 방법(정부24) 격리해제 사실 확인서가 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발급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발급은 어떻게 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격리해제 사실 확인서 지원대상 먼저 발급 전 지원대상부터 확인을 해볼게요.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를 완료한 자. 2022년 4월 11일 이후 격리통지를 받은 경우에만 발급 가능. 14세 미만 미성년자 및 본인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온라인 발급이 되지 않되며 관할보건소로 직접 방문해서 발급. 📢 잠깐! 코로나 생활지원비 이제 온라인으로 신청!! 코로나 생활지원비 온라인 신청 방법 코로나 생활지원비 온라인 신청 방법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 또는 격리될 경우 받을 수 있는 생활지원비를 이전에는 읍면동에 직접 방문해서 .. 2022. 5. 15.
코로나 생활지원비 온라인 신청 방법 코로나 생활지원비 온라인 신청 방법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 또는 격리될 경우 받을 수 있는 생활지원비를 이전에는 읍면동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을 하였다면, 이제는 온라인으로 신청(5/13일부터)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해당 관련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코로나 생활지원비 생활지원비는 직장에서 지원을 해주는 유급휴가를 받지 못한 대상에게 지원이 나가는 것으로, 본인이 직접 신청을 하셔야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자격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격리 통지서를 받은 자 (신청 제외 대상): 생활지원비를 이미 수령한 자, 해외 입국 격리자, 격리 수칙 위반자, 지자체 재정지원을 받은 자, 대기업/중견기업 종사자(유급휴가비용만 적용) ✅ 지원금액 가구 내 격리자 인원 수에 따라 1인/.. 2022. 5. 12.
전월세 신고제 대상,신고 전월세 신고제 대상,신고 전월세 신고제 계도기간이 5월 말에 끝나면서 6월부터는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가 바로 시행이 되는데요. 본격적으로 시작 전 전월세 신고제 대상 및 신고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월세 신고제 대상 전월세 신고제는 전세/월세를 계약하신 뒤, 30일 이내에 지자체에 신고해야 되는 제도를 말하는데요. 첫 시행 1년 동안에는 계도기간으로 과태료가 부과가 되지 않았지만, 내달부터는 미신고 시 정식 과태료가 부과가 됩니다. 전월세 계약을 하였다고 무조건 신고 대상이 아니고, 아래 조건에 부합되는 대상은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계약: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주택 임대차 계약(아파트, 단독, 다가구, 연립, 다세대, 고시원, 기숙사, 상가 주택, 판잣집, 하숙집 등). 지역: .. 2022. 5. 11.